일정계획 (Schedule Development)

작업순서가 결정되고 각 작업들의 작업기간이 산출되었으면 이 데이터에 의해 일정계획 수립이 가능합니다.

일정계획 수립은 각 작업의 시작일자와 종료일자에 대한 계획을 월력(Calendar Date)상에 나타내는 것으로서

다음의 절차에 의해 작성됩니다.

 

  • 전체 공사기간의 검토
  • 자원소요 평준화
  • 기타 일정계획의 조정

 

☞ 전체 공사기간의 검토   

전체기간의 산정은 각 작업별 기간을 산출한 후에 각 각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산정되어 집니다.

전체공사의 소요일수는 연결관계의 설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산출합니다.

소요인력, 소요장비, 그리고 작업공간을 어느 정도로 제한할 것인가에 따라 각 작업들의 연결관계는 직렬 또는 병렬의 관계를 갖게 되고, 직렬배열은 병렬배열 보다 긴 공사기간이 소요됩니다.

보다 단축된 공사기간을 원한다면

 

  • 공구 수를 늘리는 방법
  • 시공방법의 변경검토
  • 가시설(설비)의 수량 또는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법
  • 자원투입 증대를 통한 단계별 공사량을 늘리는 방법

등을 통하여 전체 공사기간을 압축(Duration Compression) 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시공계획의 변경은 작업간 연결관계의 변경과 각 작업기간의 변경 등을 초래하게 되며, 이에 따라 주공정(CP)이 변경되기도 합니다.

시공계획 변경없이 자원배정을 통한 공사기간의 검토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  • 작업시간의 연장(축소)
  • 자원의 단위투입량의 증대(감소)

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작업시간 및 작업공간의 한계 등으로 실무계획에서는 큰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.

 

☞ 자원 평준화   

어느 특정시기에 동종의 자원이 집중되어 투입 가능량(Capacity)을 넘거나 하나의 작업공간에서 과다한 자원투입이 이루어져 실질적인 공사수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자원의 재배치(Resource Planning)라는 과업을 수행해야 합니다.

 

  • 투입자원의 한계를 정하고, 각 작업들을 직열 배열하여 공사기간을 늘리는 방법과
  • 공사기간을 고정시키고 작업순서를 변경시켜 조기 착수 또는 분산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.
  • 공정계획상의 여유시간을 최대한 활용합니다.
  • 휴지일의 감소계획을 수립합니다.
  • 대체할 수 있는 유사자원을 검토합니다.

 

☞ 기타 일정계획의 조정   

월력상의 공정계획표가 완성되면 최종적으로 작업 불가능한 휴지일을 검토하여야 합니다.

 

  • 추석, 구정, 공휴일, 국경일 등의 휴일
  • 우천, 혹한, 혹서 등의 계절적 요인의 휴지일
  • 조석, 해류변경 등 자연현상에 의한 휴지일
  • 기타 지역적 사회적 특성에 의한 휴지일

등을 들 수 있으며, 이와 같은 요인들은 관련 공종의 일정변경을 유발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사업일정의 검토가 필요합니다.

댓글 남기기

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입력창은 *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